본문 바로가기

Web service

RSS

RSS는 ‘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ich Site Summary’의 약자로, ‘매우 간단한 배급’ 또는 ‘풍부한 사이트 요약’이라 한다. RSS는 그 자체로 풀 텍스트가 아니라, 이메일 목록처럼 헤드라인만 볼 수 있도록 하고, 원할 경우 클릭을 통해 해당 페이지로 들어갈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다. 온라인상에 콘텐츠를 배열하는 HTML과 이를 전송해주는 이메일의 장점을 하나로 묶은 기술로, 언론사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의 업데이트 정보를 한꺼번에 모아서 보내거나 받아 볼 수 있는 서비스다. RSS를 사용하면 웹사이트 운영자는 별도로 콘텐츠를 구성하거나 이메일 발송 작업을 하지 않고도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여러 웹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새로운 내용이 업데이트 될 때마다 한 자리에서 쉽고 편리하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SS 리더에 최신 정보가 취합되면 사용자는 목록에서 클릭을 통해 바로 원하는 정보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 RSS 리더에는 웹기반형과 설치형이 있는데, 현재는 간단한 계정 등록으로 어디에서든 이용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 웹기반형이 설치형보다 더 많이 쓰이고 있다. 이는 사용자들이 능동적인 주체로서 효율적으로 정보에 접근 가능하다는 의의를 가진다. 한편으로는 사용자들이 메인 페이지를 거치지 않고 해당 정보에 직접 접근함으로써 광고 수익이 감소된다는 이유로 RSS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or Rich Site Summary] (시사경제용어사전, 2010. 11., 대한민국정부)


'Web 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O 공부 요약  (0) 2015.08.26
구글 SEO DOC  (0) 2015.07.30